Designer and creator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everyday life and society through art and design. Awarded the “Beauty Award” at the Hangeul Product Idea Contest and recognized for projects like the ‘birth’ themed graduation exhibition. Specializing in UI/GUI and visual storytelling, I create intuitive and meaningful works that highlight human connection and cultural value.
Kim Minjeong
           Based in     Korea
#collaboration




#book
#object






                          #poster
#ceramic


     #typography







Project 12 ceramicceramic project Sketch2025.02

  • The Language of Sensation


↦ I used a material I know well and carved my favorite symbols on it.
Shapes like stars, eyes, hearts, and flames mix together and follow my feeling.
They look like marks from my deep thoughts.
Each shape shows the rhythm and feeling from my hands.
This is a work to record my own language.

      감각의 언어

손에 익은 재료 위에 좋아하는 기호들을 새기며, 나만의 언어를 빚어냈습니다. 
별, 눈, 심장, 불꽃 같은 형상들이 서로 뒤엉키며 감각의 흐름을 따라가고, 무의식의 흔적처럼 남겨졌습니다. 
형태 하나하나에 손끝의 리듬과 감정이 스며든 기록입니다.


Focus: symbol form itself 
Outcome: ceramic object
Project 9 ceramicproject2024

  • Modern coral reef ceramic object, and more


↦ One of the most serious works I have made is a modern ceramic object inspired by coral reefs. I made this work to show the beauty of the ocean and the problems it faces. The unique shapes and textures of coral reefs were recreated in a simple and modern way. This work is not just for decoration but has an important message about saving the ocean.

↦ The object is made of many small ceramic pieces connected together. Each piece is a different size and shape, looking like parts of coral reefs. I used my hands to carefully carve the surface, making it look detailed and real. This helped show the delicate and rich beauty of nature.

For the colors, I used black, red, and white to show the danger the ocean is in. I used a glazing technique to make the surface look like water flowing. Some parts of the object are rough, showing how coral reefs are dying or damaged. This was done on purpose to make people think about the problems in the ocean.

This work is not only beautiful but also makes people think about coral reefs and the ocean’s problems. When I showed this work, many people liked the shapes and colors. They also thought deeply about the message behind it.

This modern ceramic object combines traditional ceramic skills and a message for today’s world. It gave me confidence that I can use art to help the environment. In the future, I want to make more works that share strong messages and connect with people.

      현대적 산호초 도자기 오브제, 그외 

제가 가장 진지하게 작업했던 작품 중 하나는 산호초를 모티브로 한 현대적 도자기 오브제입니다. 이 작품은 해양 환경의 아름다움과 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산호초의 독특한 형태와 질감을 추상적으로 재해석하여 단순한 장식품이 아닌 환경 문제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자 했습니다.

작품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작은 도자기 구조물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산호초의 유기적인 흐름을 표현합니다. 표면은 손으로 조각하여 섬세한 텍스처를 강조했고, 이를 통해 자연의 복잡하면서도 아름다운 모습을 담았습니다.

채색과 유약 처리에서는 검정, 빨강, 흰색과 같은 강렬한 색조를 사용해 바다가 직면한 위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했습니다. 유약을 흘려 바르는 기법을 활용해 물이 흐르는 듯한 생동감을 더했고, 일부 거친 마감으로 산호초의 퇴색과 손상을 나타내 해양 환경 문제를 암시했습니다.

이 작품은 단순히 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을 넘어, 해양 생태계가 처한 위기에 대해 관객들이 고민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산호초의 독특한 형태와 작품 속 메시지에 매료되었다고 이야기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 현대적 도자기 오브제는 전통 도자기 기법과 동시대적 메시지를 결합한 작업으로, 예술을 통해 환경 문제를 다룰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준 중요한 작품입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를 예술로 표현하며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습니다.

Focus: meaning / Outcome: ceramic object
Project 8 ceramicABCeramic: A hole-in-the-hole project2023~
  • Hole Ceramic: A Work Made Together


↦ One of the most interesting pieces I've worked on is hole pottery. This is a ceramic piece with holes on its surface. Through the holes, I added decorations with beads and yarn. The goal was to mix traditional ceramics and modern decorations to create something new.

 The hardest part was making the right size holes. If the holes were too small, the beads and yarn could not go through. If the holes were too big, the decorations became loose and messy. At first, I made many mistakes because it was hard to find the right size. But after many tries, I finally found the perfect size and pattern. This process taught me the importance of being patient and paying attention to small details.

This work was not done by myself. I worked with a bead artist to complete it. From the beginning, we planned together how to combine ceramics and beads. We talked a lot and tried many ideas to make the work better. For example, we tested how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holes would change the look and feel of the decorations. We failed many times but kept trying until we were happy with the result.

Through this process, I learned how important it is to work with others. Ceramics and beads are very different, but we combined them to create one beautiful piece. I realized that working together can bring ideas that one person alone cannot imagine.

The final Hole Ceramic was more than just a decoration. It showed how two different skills and materials can come together to make something special. When people saw it, they were amazed by the beads and yarn shining through the holes. They also liked hearing the story of how the work was made together.

This piece taught me many lessons. It showed me that trying new things and working with others can make my art better. In the future, I want to keep creating art with new ideas and teamwork.

        구멍 도자기: 협업으로 빚어낸 조화

제가 가장 재미있게 작업했던 작품 중 하나는 구멍 도자기입니다. 이 작품은 도자기 표면에 다양한 크기의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통해 비즈와 털실로 장식을 더한 독특한 공예품입니다. 전통적인 도자기 기법과 현대적인 장식 요소를 결합해 새로운 조형미를 창출하려는 시도였습니다.

작업의 핵심은 도자기 표면에 알맞은 크기의 구멍을 뚫는 것이었습니다. 구멍이 너무 작으면 비즈나 털실이 통과하지 못하고, 반대로 너무 크면 장식이 느슨해져 조형미가 떨어졌습니다. 처음에는 적정한 크기를 찾는 일이 쉽지 않았습니다. 구멍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수많은 시도를 했고, 크기와 배열을 바꾸어 가며 실패를 반복했습니다. 하지만 실험을 거듭한 끝에, 가장 이상적인 크기와 패턴을 찾아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내와 세밀함의 중요성을 깊이 깨달았습니다.

이 작품은 저 혼자만의 작업이 아니었습니다. 저는 비즈 공예자와 협업하여 이 작품을 완성했습니다. 도자기를 제작하는 단계부터 비즈를 활용한 장식을 계획하고, 비즈 공예자가 제공한 아이디어를 작품에 반영했습니다. 우리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대화를 나누고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예를 들어, 구멍의 크기와 위치가 장식의 배치와 연결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끊임없이 테스트하며 서로의 전문성을 조화롭게 활용했습니다.

이 과정은 협업의 중요성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도자기와 비즈라는 서로 다른 분야가 만나 하나의 작품으로 어우러지는 과정을 통해, 혼자서는 얻을 수 없는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협업을 통해 예술이 단순한 개인의 표현을 넘어 다채로운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완성된 구멍 도자기는 단순한 공예품을 넘어, 서로 다른 소재와 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과정의 결과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인상 깊게 다가갔습니다. 전시 당시, 관람객들은 구멍을 통해 드리워진 비즈와 털실의 독특한 장식에 매료되었고, 이 작품에 담긴 협업의 이야기에 관심을 보였습니다.

구멍 도자기는 제게 단순한 작업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이 작품은 도전과 협력을 통해 가능성을 확장해나가는 예술의 가치를 보여준 경험이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와 협업하며 새로운 시도를 통해 예술의 경계를 넓혀가고 싶습니다.

Focus:  collaboration / Outcome: perforated ceramic
Project 10 Ceramic Archive Book자유프로젝트2023~

  • Ceramic Archiving Book: My Creative Reference


↦ To make good ceramics, I always look for references. One day, I thought it would be helpful to collect and record all the things I found. That is how I made my Ceramic Archiving Book.

This book is not just a notebook. I used a ring binder to create a 400-page book. I added plastic zipper pockets at the front and back to store small items like real materials or notes. This book holds everything I want to remember or use as inspiration for my ceramics. But it’s not only about ceramics. It also includes many other things that inspire me.

For example, I added pictures of clay textures, but also photos of nature with beautiful colors or even interesting shapes from buildings. I didn’t just collect these images; I also edited them and organized them to tell a story on each page. Some pages give me ideas about ceramic shapes, while others inspire me to think about the mood of my next project.

This book is not only a collection of references. It is also a tool that helps me think about my work and gives me new ideas. While making this book, I learned more about my creative process and how to connect my ideas. Every page feels like part of a bigger story about my work.

My Ceramic Archiving Book is more than a simple reference. It helps me grow as an artist, find inspiration, and explore many creative ideas beyond ceramics. I think it is a very useful and meaningful book.

I will keep adding new things to this book. It will help me learn more about ceramics and create better works in the future. My Ceramic Archiving Book is my creative partner and my story.


        세라믹 아카이빙 북: 나만의 창작 
            참고서

↦ 도자기를 잘 만들기 위해, 저는 항상 레퍼런스를 찾습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떠오른 생각은, 제가 참고했던 모든 자료를 한곳에 모아 기록하면 어떨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세라믹 아카이빙 북입니다.

이 책은 단순한 노트가 아닙니다. 저는 링제본 노트를 사용하여 400페이지의 방대한 책을 만들었습니다. 책의 앞뒤에는 비닐 지퍼백 주머니를 붙여 실물 자료나 작은 메모를 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책에는 도자기를 만들면서 참고하고 싶었던 모든 자료가 담겨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도자기 자료만 있는 것이 아니라, 도자기가 아닌 다양한 시각적 요소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는 흙의 질감을 표현한 사진뿐 아니라, 자연 속에서 발견한 독특한 색감, 또는 건축물의 구조에서 영감을 받은 이미지도 정리해 두었습니다. 단순히 자료를 모으는 데 그치지 않고, 이미지와 텍스트를 편집하여 각 페이지가 하나의 스토리를 가지도록 구성했습니다. 어떤 페이지는 특정한 도자기 형태에 대한 참고가 되고, 다른 페이지는 제가 만들고 싶은 작품의 분위기를 상상하게 만듭니다.

이 책은 단순히 자료를 나열한 기록물이 아닙니다. 제가 작업을 할 때마다 필요한 영감을 얻을 수 있는 도구이자, 제 창작 과정을 담은 이야기입니다. 하나하나의 자료를 정리하며 저 스스로의 작업 방향과 목표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자연스럽게 제 작업의 연속성을 느낄 수 있게 했습니다.

세라믹 아카이빙 북은 단순히 도자기를 위한 참고서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이 책은 제가 창작자로서 걸어가는 길을 기록하고, 영감을 주며, 도자기 외의 다양한 시각적 언어를 발견하게 만드는 도구입니다. 꽤 쓸모 있고 영양가 있는 책이라고 자부합니다.

앞으로도 이 책은 계속해서 새로운 자료와 생각들로 채워질 것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제가 도자기를 더 깊이 이해하고,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는 데 중요한 자원이 될 것입니다. 세라믹 아카이빙 북은 제 작업의 동반자이자, 저만의 창작 이야기입니다.

Focus: book and image
Outcome: Archive Book
Project 11 Posters자유 프로젝트Ongoing
   
  • 도자기를 통한 탐구와 실험: 자유 프로젝트의 여정


↦ 제가 가장 흥미롭게 진행했던 자유 프로젝트 중 하나는 유학을 준비하는 동안 우연히 시작한 도자기 작업입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취미로 시작했지만, 점차 작업의 깊이가 더해지면서 도자기에 대한 탐구가 제 삶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처음 만든 작품들은 지역 플리마켓에서 선보이기도 했고, 판매 과정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도자기를 매개로 한 상인들과의 만남은 단순한 거래를 넘어 하나의 커뮤니티로 확장되었고, 이 안에서 교류하고 나누는 경험이 무척 즐거웠습니다. 또한, 전시와 관련된 그래픽 디자인 작업을 맡으며 도자기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서도 고민할 기회가 많았습니다. 더 나아가 직접 도자기 작가로서 팝업 형식의 전시를 기획하고, 판매까지 진행하면서 도자기의 가능성을 다방면으로 실험해 볼 수 있었습니다.

이런 경험들을 통해 저는 단순히 도자기를 제작하는 기술을 익히는 것 이상으로, 도자기를 활용한 사회적 디자인과 커뮤니티 형성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도자기가 단순한 공예품을 넘어 사람들과 소통하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도자기에 대한 탐구심이 깊어졌고,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도자기가 지닌 문화적, 사회적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고 싶어졌습니다.

특히, 저는 도자기라는 재질 자체의 가능성에 집중하고 싶습니다. 완성된 결과물보다 제작 과정에서의 실험과 탐구에 더욱 의미를 두며, 도자기가 지닌 촉감, 형태, 질감 등이 만들어내는 감각적 경험을 탐색하는 것에 흥미를 느낍니다. 이를 통해 단순한 기능적 오브제를 넘어, 도자기가 가진 물성 자체를 탐구하고 실험하는 작업을 지속하고 싶습니다.

앞으로도 도자기를 매개로 다양한 이야기들을 나누고, 사회적 주제와 연결된 창작을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그리고 이 과정 속에서 도자기의 본질과 가능성을 확장하는 실험적인 작업을 계속해나가고 싶습니다.


    •• Exploring and Experimenting with Ceramics: My Journey

↦ I started making ceramics when I was preparing to study abroad. At first, it was just a hobby. But as time passed, I became more interested in ceramics.

I made different ceramic works and sold them at a local flea market. It was fun to meet other sellers and talk with them. I also designed posters for ceramic exhibitions. Later, I became a ceramic artist myself. I held small pop-up exhibitions and sold my own works. Through these experiences, I wanted to learn more about ceramics.

I was not only interested in the skill of making ceramics. I also wanted to use ceramics to design for society. I liked talking and discussing ideas about ceramics. Sometimes, I just enjoyed the material itself. I wanted to focus on the process, not only the final result.

In the future, I want to study and experiment more with ceramics. I hope to share my ideas with more people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ceramics.

Focus: Experiments, Experiences
Outcome: posters

Project 7  Graduation Project branding
THE MORE DOH! 더더더! 2020.02.20 - 2021.01.15

  • <더더더!> 온라인 전시, 그래픽 디자인 2, 2021
  • <The More doh!> Online Exhibitions, Graphic design 2>


↦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 더배곳 여섯 번째 마친보람전시 <더더더!>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새로운 소통 창구를 마련해 여는 온라인 전시입니다. <더더더!>는 파티 더배곳 배움 과정 속에서 배우미들이 발견한 것들을 각자만의 언어로 정의해나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각각의 주제에 몰입해 생산한 것들을 전시라는 형식으로 한 번 더 확장합니다. 

*The Korean word "더" has the same pronunciation as "the". And this means "more".
<The More Doh!> is the 6th graduation exhibition of Deobaegot that is postgraduate

↦ course of Paju Typography Institute(PaTI), and it is also an online exhibition that opens a new channel of communication due to the covid-19 crisis.<The More Doh!> shows you the process of defining what we have found -  in the learning process of PaTI - through our own language. And it extends and in the form of an exhibition, what we've produced by being immersed in each project topic.


Focus: Writing as a design tool
Outcome: Conceptual exploration of text and objects

Project 6 Practical Project
Kim Geuntae Memorial Library Signage Design 2021—2021.12.04

  • Kim Geuntae Memorial Library Signage Design


→ 약 1년 동안 진행된 이 프로젝트는 스승 안상수가 지휘하고 
팀장 안마노가 감독했다. 나는 안마노 팀의 팀원으로써 김근태기념도서관 그래픽 사이니지 디자인 작업을 했다. 구체적으로는 기호 디자인, 층별 안내 디자인과 전시 디자인을 맡았다. 김근태기념도서관은 서울시 도봉구 최초의 민주주의 라키비움(Larchiveum= Library+Archives+Museum) 문화 시설이다. 故 김근태 선생의 정신과 가치를 이어받아 민주주의의 삶을 현재화하고 새롭게 발현하고자 설립된 공간이다. 이에 김근태 CI는 좌우로 맞닿은 두 손과 지식의 축적을 그래픽화해 완성시켰다. 우리는 이곳을, 김근태 선생의 뜻을 기리는 상징적 기억 공간이자 미래 세대와 지역 사회를 위한 공공의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 This project, spanning about a year, was led by master Ahn Sang-soo and supervised by team leader Ahn Mano. As a member of Team Ahn Mano, I worked on the graphic signage design for the Geun-Tae Kim Memorial Library. Specifically, I was in charge of the symbol design, floor guide design, and exhibition design.

The Geun-Tae Kim Memorial Library is the first democracy Larchiveum (Library+Archives+Museum) cultural facility in Dobong District, Seoul. It was established to modernize and newly express the life of democracy, inheriting the spirit and values of the late Mr. Geun-Tae Kim. The Geun-Tae Kim CI was completed by graphically representing two hands joined left and right, symbolizing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We strived to create this place as a symbolic memory space honoring the will of Mr. Geun-Tae Kim and a public space for future generations and the local community.


Focus: Wayfinding and graphic design for public spaces
Outcome: Implemented signage system

Project 5 Graduation ProjectThe Birth of Online and Offline 2020—2021.01.15

  • The Birth of Online and Offline


→ <온라인 오프라인의 경계에서, ‘탄생’>은 탄생의 정의를 온/오프라인의 관점으로 재정의하고, 실험적 그래픽 작업으로 확장한 졸업 프로젝트다. 나는 과거 2년 동안 그래픽디자인론 수업을 들으며 그래픽디자인의 흐름에 관해 공부했다. 수업을 통해 온/오프라인의 경계가 희미해져 간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현실 속에서 그 징후가 이미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팬데믹 기간에 확실히 체험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갈수록 희미해지고 있는 지금. 그 경계선상의 현실에서 그래픽디자인은 어떤 모양으로, 어떤 방식으로, 어떤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을까. 그리고 향후 어떠한 모습으로 존재하게 될까. 이러한 현실 고민을 기반으로 기획한 졸업 프로젝트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각의 공간에서, 무언가 ‘탄생’하는 과정과 결과의 차이를 이용해, 또 다른 그래픽디자인 
작품을 탄생시켜보았다.


→ Bordering Online and Offline: 'Birth'> is a graduation project that redefines the concept of birth from an online/offline perspective and expands it into experimental graphic work. 

Over the past two years, I have studied the trends in graphic design by attending courses on graphic design theory. Through these classes, I came to realize that the boundary between online and offline is becoming increasingly blurred, a fact that became even more 
evident during the pandemic, as the signs were already clearly present in reality.

In today's world, where the line between online and offline is growing fainter, what shape, form, and manner can graphic design take in this boundary-straddling reality? And what form will it take in the future?




This graduation project was planned based on these real-world concerns. I sought to create a new graphic design piece by utilizing the differences in the process and outcome of something 'being born' in both online and offline spaces.


Focus: Integration of online and offline design
Outcome: Hybrid design approach for digital and physical media

media link: sound on!!
Project 4 object WRITING
(  )
OBJECTS
2019—2019.10.16

  • WRITING
  • (  )
  • OBJECTS

→ 프로젝트의 핵심은, 타이포그래피를 하나의 장난감처럼 활용해,
참여자가 상상한 세계관을 구성하고 최종 오브제를 구현하는 것이다. 특히 무의식적으로 무언가
쓰인 것들 중에서 선과 형태에 주목한다. 그리고 거기서 발견한 흥미로운 요소들에 나름대로의 규칙을 부여하며 가상의 글자 체계를 구축한다. 가상 언어가 문자로 쓰이는 방식, 글자 형태의 특징, 읽는 방법을 정하고 난 후에는 그 글자가 쓰일 법한 세계를 만든다. 그리고 그것이 이 세계에 어떤 모습으로 존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오브제를 상상해 구현한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상의 글쓰기 시스템을 생성한다. 둘째, 리버스 엔지니어링 및 세계 구축 문화를 제작한다. 셋째, 인공물을 디자인하고 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니 전시회를 연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프로젝트다.


→  he core of the <Writing ( ) objects> project is to use typography 
as a playful tool, enabling participants to construct their imagined worldview and realize the final object. Particularly, the project focuses 
on the lines and shapes in things written unconsciously. Interesting elements discovered in these are given their own set of rules to establish 
a fictional letter system. After deciding how this imaginary language
 is written as characters, the characteristics of letter forms, 
and methods of reading, a world where these letters would be used is created. Then, the project involves imagining and realizing an object that represents how it could exist in this world.

Th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create an imaginary writing system. Second, produce a culture of reverse engineering and world-building. Third, design and fabricate artifacts. And finally, hold a mini-exhibition'. 
This completes the project.


Focus: Typographic play and abstraction
Outcome: Wooden artifacts and mini-exhibition
Guidance: Tuomas Kortteinen


Projec3 book

Time space, exhibition, poster
: case of seoul
2020—2021.07.30

               The project <Time, Place, Poster - In the case of Seoul>

→ <시간, 장소, 포스터 - 서울의 경우> 프로젝트는 2019년 PaTI 가을 학기 강좌 ‘그래픽디자인론-한국 현대 그래픽 디자인: 현상과 분석’을 바탕으로 기획되었다. 나를 비롯한 학생생들은 담당 스승에게, 포스터나 잡지 등 매체로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동시대 지형을 파악하는 본래 그래픽디자인론 수업에서 벗어나, '한국의 전시 포스터 아카이빙'이라는 수집 프로젝트를 수업의 연장으로 진행하고 싶다고 의사를 밝혔었다. 이에 전가경 스승은 학생들을 위해 한 학기 수업을 연장해 진행했다. 그녀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선에서만 그 역할을 했다. 최초 목표는 전시 관련 국내의 모든 포스터를 모아보자는 것이었으나, 그 범주를 좁혀, 2010년대(경우에 따라서는 2000년대)에 서울에서 생산된 전시 포스터를 수집하는 프로젝트로 진행했다.

→  The project <Time, Place, Poster - In the case of Seoul>' was conceived based on the 2019 PaTI autumn semester course 'Graphic Design Theory - Korean Contemporary Graphic Design: Phenomena and Analysis'.

My fellow students and I expressed to our professor the desire to extend our learning beyond the standard Graphic Design Theory course, which originall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landscape of graphic design through mediums like posters and magazines. We proposed to continue the course with a collection project titled 'Archiving Korean Exhibition Posters'. The professor agreed to extend the semester-long course for us and limited their role to providing guidelines.

The initial goal was to collect all exhibition-related posters in Korea, but we narrowed down the scope to focus on exhibition posters produced in Seoul during the 2010s (and in some cases, the 2000s)."


Focus: Exhibition poster archiving
Outcome: Published book, 146 pages
Challenges: COVID-19 restrictions on physical collections

Project 2 Book
Monday Seminar 2019—2020.08.20

→ <달날파티>는 2018년 타이포그라피2 <논문연찬집*> 서울여대 
민병걸 스승이 제안해 오진경, 정인지 스승이 공동 기획한 프로젝트로, 한 학기 동안 진행한 세미나 <논문연찬- 둥근 테이블>을 글과 사진으로 엮은 연찬 기록물이다. 이는 디자인 전공자들의 졸업 작업을 바탕으로 그 연구의 의미와 성과를 나누고자 PaTI에서 만들어낸 책 형태의 작업물이다.
 
<달날파티>는 모두 8명의 디자인과 배우미들의 졸업 작업 과정과 실험들을 정리한 책이다. 그 당시 세미나를 책으로 묶이 위한 책 멋지음 작업을 거쳐 2020.8월에 출간되었다.


→ "<Monday Seminar>" is a project proposed in 2018 by Professor Min Byung-ge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for the "Typography 2 Research Paper Collection." 
It was co-planned by Professors Oh Jin-kyung and Jeong In-ji. This project is a compilation of a semester-long seminar titled "Research Feast - Round Table," documented through text and photographs. It serves as a record of discussions and is a book-form work created by PaTI**, aimed at sharing the significance and outcomes of research based on the graduation works of design majors. 

※Monday Seminar is a book that compiles the graduation project processes and experiments of eight participating students. This book, a result of meticulous design and compilation efforts, was published in August 2020.


Focus: Typography and editorial design
Outcome: Published book, 88 pages
Collaborative team: Professors, students, and designers
Project 1 support project
A daily historical calendar 2019—2020


→일상의실천은 16명의 일러스트레이터와 함께 2021년 달력 일상의 역사를 제작했습니다. 이 달력에는 기존 달력에서 볼 수 없는 특별한 기념일들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는 일상 속에서 간과되기 쉬운 역사를 되새기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기억해야 할 가치를 담고자 한 시도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삼원특수지의 같이의 가치 프로젝트 지원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역사는 시간의 퇴적물이지만, 시간 자체는 기록하거나 기억을 유지할 힘이 없습니다. 이는 우리가 매일의 일상에서 불완전한 과거를 현재의 시선으로 다시 마주해야 하는 모습과 닮아 있습니다. 기록되지 못하고 사라지는 일상은 아무런 힘을 가지지 못합니다. 이를 극복하고자 일상의 역사는 우리의 일상을 기록합니다. 잊힌 노동자의 외침, 기후 위기, 인권 불평등 같은 일상 속 각성의 순간들을 담아냅니다.

16명의 일러스트레이터는 열두 달을 상징하는 그림을 통해 행복과 절망이 공존하는 일상의 기록을 표현했습니다. 각기 다른 종이에 담긴 이 작업은 우리가 잃지 말아야 할 역사의 증언입니다. 이를 기억할 때 우리의 일상은 비로소 의미 있는 힘을 얻게 될 것입니다.


→ Daily Practice produced the daily history of the 2021 calendar with 16 illustrators. The calendar features special anniversaries that are not seen in traditional calendars. It is an attempt to reflect on the history that is easily overlooked in everyday life and to capture the value that should be remembered as a member of society. This project was supported by Sam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shared value project.

History is a deposition of time, but time itself has no power to record or maintain memories. It resembles how we have to face the imperfect past in our daily lives again with our present gaze. Daily life, which is not recorded and disappears, has no power. To overcome this, everyday history records our daily lives. It captures moments of awakening in everyday life, such as the cry of forgotten workers, the climate crisis, and human rights inequality.

Sixteen illustrators expressed the daily record of happiness and despair through paintings that symbolize 12 months. This work on different pieces of paper is a testimony of history that we should not lose. Our daily lives will gain meaningful power when we remember this.

일러스트레이션 아트디렉션. 권민호(PaTI 일러스트레이션 스튜디오


참여작가.
3월 김민정


Focus: Image and typography
Outcome: calendar
Collaborative team: Professors, students, and designers

C.V.(Curriculum Vitae)









Aademic Career

  • Munsu High School (Graduated in Feb. 2014)
  • Seoil University (Graduated in Feb. 2018)
  • Paju Typography Institute (PaTI) (Graduated in Feb 2021.)

School Activities

  • 2015: Participated in major club ‘Beauty Making’
  • 2017: The president of ‘Venture Start-up Foundation’ Club
  • 2017: The president of ‘Teacher-student mentorship’ Club
  • 2019: Participated in ‘Monday Seminar/ Beauty Making’ Club
  • 2020: Participated in ‘Post Project’ Activity
  • 2021: Participated in ‘The Value of Together’ Activity

Awards and Achievements

  • 2021: Participated in Venture Start-up Foundation Club 'Dixplorer'
    • Received the Head of Jungnang-gu Office's Award.
  • 2015, 2017: Academic Achievement Scholarships (1st & 2nd Semester).
    • Recognized for outstanding academic performance at hongik University.
  • 2017: Honored as "A person who has brought honor to the school" by the President of hongik University.
  • 13th Korean Cultural Product Idea Contest:
    • Won Third Prize, "The Beauty Awards" in the Finished Product Category.

Professional Experience

  • Mar 2021 – Nov 2021: Researcher, Nalgae-House Laboratory.
  • Nov 2021: Team Member, MABASA, collaborated with Angraphics.
  • May 2023 - December 2024: student, “nadam” ceramic studio.
  • Jan 2025 - the present: Partner, “doggaebi” ceramic studio.

Skills and Proficiencies

  • 3 years: Expertise in Photoshop.
  • 3 years: Proficient in Woodworking techniques.
  • 1 year: Experience with Illustrator for digital design and illustration.
  • 5 years: Practical knowledge in Pottery, focusing on craftsmanship and creative designs.
  • 1 year: Engaged in Out of School learning for personal development.
  • 1 year: Involved in In School activities, contributing to academic and creative growth.
  • 2 year: ceramic skills.















Designer blending art and design to explore society and daily life. Winner of the “Beauty Award” at the Hangeul Product Idea Contest, recognized for the ‘birth’ themed graduation exhibition. Specializing in UI/GUI and visual storytelling to craft intuitive works celebrating human connection and culture.

Email
Instagram


Copyright © 2025. All rights reserved.
  This website and its content are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Minjeong Kim. Unauthorized reproduction, distribution, or use of any materials is strictly prohib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