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ramic Archiving Book: My Creative Reference
↦ To make good ceramics, I always look for references. One day, I thought it would be helpful to collect and record all the things I found. That is how I made my Ceramic Archiving Book.
This book is not just a notebook. I used a ring binder to create a 400-page book. I added plastic zipper pockets at the front and back to store small items like real materials or notes. This book holds everything I want to remember or use as inspiration for my ceramics. But it’s not only about ceramics. It also includes many other things that inspire me.
For example, I added pictures of clay textures, but also photos of nature with beautiful colors or even interesting shapes from buildings. I didn’t just collect these images; I also edited them and organized them to tell a story on each page. Some pages give me ideas about ceramic shapes, while others inspire me to think about the mood of my next project.
This book is not only a collection of references. It is also a tool that helps me think about my work and gives me new ideas. While making this book, I learned more about my creative process and how to connect my ideas. Every page feels like part of a bigger story about my work.
My Ceramic Archiving Book is more than a simple reference. It helps me grow as an artist, find inspiration, and explore many creative ideas beyond ceramics. I think it is a very useful and meaningful book.
I will keep adding new things to this book. It will help me learn more about ceramics and create better works in the future. My Ceramic Archiving Book is my creative partner and my story.
참고서
↦ 도자기를 잘 만들기 위해, 저는 항상 레퍼런스를 찾습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떠오른 생각은, 제가 참고했던 모든 자료를 한곳에 모아 기록하면 어떨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세라믹 아카이빙 북입니다.
이 책은 단순한 노트가 아닙니다. 저는 링제본 노트를 사용하여 400페이지의 방대한 책을 만들었습니다. 책의 앞뒤에는 비닐 지퍼백 주머니를 붙여 실물 자료나 작은 메모를 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책에는 도자기를 만들면서 참고하고 싶었던 모든 자료가 담겨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도자기 자료만 있는 것이 아니라, 도자기가 아닌 다양한 시각적 요소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는 흙의 질감을 표현한 사진뿐 아니라, 자연 속에서 발견한 독특한 색감, 또는 건축물의 구조에서 영감을 받은 이미지도 정리해 두었습니다. 단순히 자료를 모으는 데 그치지 않고, 이미지와 텍스트를 편집하여 각 페이지가 하나의 스토리를 가지도록 구성했습니다. 어떤 페이지는 특정한 도자기 형태에 대한 참고가 되고, 다른 페이지는 제가 만들고 싶은 작품의 분위기를 상상하게 만듭니다.
이 책은 단순히 자료를 나열한 기록물이 아닙니다. 제가 작업을 할 때마다 필요한 영감을 얻을 수 있는 도구이자, 제 창작 과정을 담은 이야기입니다. 하나하나의 자료를 정리하며 저 스스로의 작업 방향과 목표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자연스럽게 제 작업의 연속성을 느낄 수 있게 했습니다.
세라믹 아카이빙 북은 단순히 도자기를 위한 참고서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이 책은 제가 창작자로서 걸어가는 길을 기록하고, 영감을 주며, 도자기 외의 다양한 시각적 언어를 발견하게 만드는 도구입니다. 꽤 쓸모 있고 영양가 있는 책이라고 자부합니다.
앞으로도 이 책은 계속해서 새로운 자료와 생각들로 채워질 것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제가 도자기를 더 깊이 이해하고,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는 데 중요한 자원이 될 것입니다. 세라믹 아카이빙 북은 제 작업의 동반자이자, 저만의 창작 이야기입니다.
Focus: book and image
Outcome: Archive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