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3 book
: case of seoul
→ <시간, 장소, 포스터 - 서울의 경우> 프로젝트는 2019년 PaTI 가을 학기 강좌 ‘그래픽디자인론-한국 현대 그래픽 디자인: 현상과 분석’을 바탕으로 기획되었다. 나를 비롯한 학생생들은 담당 스승에게, 포스터나 잡지 등 매체로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동시대 지형을 파악하는 본래 그래픽디자인론 수업에서 벗어나, '한국의 전시 포스터 아카이빙'이라는 수집 프로젝트를 수업의 연장으로 진행하고 싶다고 의사를 밝혔었다. 이에 전가경 스승은 학생들을 위해 한 학기 수업을 연장해 진행했다. 그녀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선에서만 그 역할을 했다. 최초 목표는 전시 관련 국내의 모든 포스터를 모아보자는 것이었으나, 그 범주를 좁혀, 2010년대(경우에 따라서는 2000년대)에 서울에서 생산된 전시 포스터를 수집하는 프로젝트로 진행했다.
→ The project <Time, Place, Poster - In the case of Seoul>' was conceived based on the 2019 PaTI autumn semester course 'Graphic Design Theory - Korean Contemporary Graphic Design: Phenomena and Analysis'.
My fellow students and I expressed to our professor the desire to extend our learning beyond the standard Graphic Design Theory course, which originall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landscape of graphic design through mediums like posters and magazines. We proposed to continue the course with a collection project titled 'Archiving Korean Exhibition Posters'. The professor agreed to extend the semester-long course for us and limited their role to providing guidelines.
The initial goal was to collect all exhibition-related posters in Korea, but we narrowed down the scope to focus on exhibition posters produced in Seoul during the 2010s (and in some cases, the 2000s)."
Focus: Exhibition poster archiving
Outcome: Published book, 146 pages
Challenges: COVID-19 restrictions on physical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