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le Ceramic: A Work Made Together
↦ One of the most interesting pieces I've worked on is hole pottery. This is a ceramic piece with holes on its surface. Through the holes, I added decorations with beads and yarn. The goal was to mix traditional ceramics and modern decorations to create something new.
The hardest part was making the right size holes. If the holes were too small, the beads and yarn could not go through. If the holes were too big, the decorations became loose and messy. At first, I made many mistakes because it was hard to find the right size. But after many tries, I finally found the perfect size and pattern. This process taught me the importance of being patient and paying attention to small details.
This work was not done by myself. I worked with a bead artist to complete it. From the beginning, we planned together how to combine ceramics and beads. We talked a lot and tried many ideas to make the work better. For example, we tested how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holes would change the look and feel of the decorations. We failed many times but kept trying until we were happy with the result.
Through this process, I learned how important it is to work with others. Ceramics and beads are very different, but we combined them to create one beautiful piece. I realized that working together can bring ideas that one person alone cannot imagine.
The final Hole Ceramic was more than just a decoration. It showed how two different skills and materials can come together to make something special. When people saw it, they were amazed by the beads and yarn shining through the holes. They also liked hearing the story of how the work was made together.
This piece taught me many lessons. It showed me that trying new things and working with others can make my art better. In the future, I want to keep creating art with new ideas and teamwork.
제가 가장 재미있게 작업했던 작품 중 하나는 구멍 도자기입니다. 이 작품은 도자기 표면에 다양한 크기의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통해 비즈와 털실로 장식을 더한 독특한 공예품입니다. 전통적인 도자기 기법과 현대적인 장식 요소를 결합해 새로운 조형미를 창출하려는 시도였습니다.
작업의 핵심은 도자기 표면에 알맞은 크기의 구멍을 뚫는 것이었습니다. 구멍이 너무 작으면 비즈나 털실이 통과하지 못하고, 반대로 너무 크면 장식이 느슨해져 조형미가 떨어졌습니다. 처음에는 적정한 크기를 찾는 일이 쉽지 않았습니다. 구멍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수많은 시도를 했고, 크기와 배열을 바꾸어 가며 실패를 반복했습니다. 하지만 실험을 거듭한 끝에, 가장 이상적인 크기와 패턴을 찾아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내와 세밀함의 중요성을 깊이 깨달았습니다.
이 작품은 저 혼자만의 작업이 아니었습니다. 저는 비즈 공예자와 협업하여 이 작품을 완성했습니다. 도자기를 제작하는 단계부터 비즈를 활용한 장식을 계획하고, 비즈 공예자가 제공한 아이디어를 작품에 반영했습니다. 우리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대화를 나누고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예를 들어, 구멍의 크기와 위치가 장식의 배치와 연결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끊임없이 테스트하며 서로의 전문성을 조화롭게 활용했습니다.
이 과정은 협업의 중요성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도자기와 비즈라는 서로 다른 분야가 만나 하나의 작품으로 어우러지는 과정을 통해, 혼자서는 얻을 수 없는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협업을 통해 예술이 단순한 개인의 표현을 넘어 다채로운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완성된 구멍 도자기는 단순한 공예품을 넘어, 서로 다른 소재와 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과정의 결과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인상 깊게 다가갔습니다. 전시 당시, 관람객들은 구멍을 통해 드리워진 비즈와 털실의 독특한 장식에 매료되었고, 이 작품에 담긴 협업의 이야기에 관심을 보였습니다.
구멍 도자기는 제게 단순한 작업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이 작품은 도전과 협력을 통해 가능성을 확장해나가는 예술의 가치를 보여준 경험이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와 협업하며 새로운 시도를 통해 예술의 경계를 넓혀가고 싶습니다.
Focus: collaboration / Outcome: perforated ceramic